 폭염이 이어지면서 비말 차단 마스크가 품귀현상을 보이고 있다. 지난 6월 첫 번째 주말부터 온라인으로 판매되기 시작한 비말 차단 마스크는 통기성이 뛰어나고 저렴한 가격으로 수요가 폭증하고 있지만 공급이 턱없이 부족해 연일 매진행렬을 이어가고 있다. 비말 차단용 마스크를 지칭하는 ‘KF-AD’의 AD(Anti Droplet)는 ‘미세한 침방울 차단’을 뜻한다. 성능은 덴탈마스크(수술용마스크)와 크게 다르지 않다. 사실상 거의 똑같다고 봐도 무방하다. 두 마스크 모두 안감, 필터, 방수겉면 등 주로 3겹 구조로 구성돼 있다. 미세입자 차단율은 KF 기준 55~80% 정도다. 지름 0.4~0.6μm 수준의 입자를 55~80% 정도 걸러낸다는 뜻으로 생활 방역에 무리 없이 사용할 수 있는 수준이다. 비말 차단용 마스크와 덴탈 마스크는 식약처로부터 의약외품 허가를 받아야 한다. 액체 저항성 실험, 방수 효과를 입증하는 테스트 등 까다로운 시험을 통과해야만 의약외품 인증 사용이 허가된다. 비슷한 성능에도 불구하고 식약처가 비말 차단용 마스크를 별도로 지정한 이유는 일반 국민에게 덴탈마스크와 유사한 마스크를 공급하기 위함이다. 현재 덴탈마스크는 대부분 의료기관에 우선 공급되고 있어 일반인들이 구하기란 쉽지 않다.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마스크는 ‘덴탈형 마스크’가 대부분이다. 덴탈형 마스크는 비말차단용마스크나 덴탈마스크와 외관이 흡사하지만 전혀 다른 제품이다. 식약처의 인증을 받지 않은 일반 일회용 마스크다. 온·오프라인에서 판매되는 덴탈형 마스크 중 일부는 ‘MB 필터’를 사용해 안전하다고 광고하기도 한다. MB필터는 멜트블로운 필터로 미세먼지나 바이러스 차단하는 특수 필터다. 식약처는 MB필터가 비말차단을 보장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 식약처 관계자는 “식약처에서 마스크를 인증할 때는 MB필터 유무로 판단하지 않으며 비말차단 성능 테스트만 주로 한다"고 설명했다. 마스크 업계 전문가들도 ”바이러스를 차단하는 기능은 MB필터에서 이루어지지만 MB필터는 등급이 여러 분류로 나뉘고 동일한 MB필터라도 등급마다 효능의 차이가 많이 난다“며 ”MB필터의 효능을 입증할 수 있는 시험성적서를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한편 식약처는 비말 차단 마스크는 일상생활용이라는 점을 강조한다. 식약처 관계자는 “비말차단마스크는 여름철 숨쉬기 편하도록 얇고 가볍게 만들어진 마스크”라며 “코로나19 의심환자를 돌보거나 발열·호흡기 등 증상이 나타날 경우에는 반드시 KF94와 같은 보건용 마스크를 착용해야한다”고 강조했다. 최유리 온케이웨더 기자 YRmeteo@onkweather.com
|